개요

본 연구에서는 석탄발전소가 운영하는 동안 경제성을 유지할 수 있는 최적의 탈석탄 로드맵을 제시하며, 이를 통해 석탄발 전소 운영의 불확실성과 경제적 위험을 줄여, 재생에너지로의 전환을 촉진하는 데 기여하고자 한다.

내용

지난 NEXT Electricity Outlook Part 1 에서는 향후 석탄발전 이용률 감소로 인해 석탄발전의 경제성이 악화 될 것이라는 점을 전망했다. 본 연구 Part 2에서는 석탄발전소가 운영하는 동안 경제성을 유지할 수 있는 최적의 탈석탄 로드맵을 제시하며, 이를 통해 석탄발 전소 운영의 불확실성과 경제적 위험을 줄여, 재생에너지로의 전환을 촉진하는 데 기여하고자 한다. 서론에서는 국내 석탄발전의 현황을 점검하여 정책적 개선은 없고 석탄발전소 운영 여건이 더 악화되었음을 확인했다. 다음으로 온실 가스 감축을 위한 최적의 석탄 감축 로드맵을 도출했다. 이때, 현 상황을 현실적으로 반영하면서, 온실가스 감축 목표와 재생에너지 보급 속도 등이 석탄 감축 로드맵에 어떻게 영향을 주는지 분석할 수 있도록 시나리오를 설계했다. 시나리오 분석 결과, 본 연구의 핵심 메시지는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핵심 메시지>


1. 현재 제11차 전력수급기본계획을 유지한다면 2035년 이후 대부분 석탄발전소는 경제성을 잃는다.
2. 국가 재생에너지 목표를 달성하지 못하면 온실가스 감축 목표 달성을 위해 석탄발전소 가동중단은 불가피하다.
3. 11차 전기본에서의 연료전환 계획이 수정될 경우, 2035년 이전 탈석탄을 달성할 수 있다.
4. 석탄 발전을 운영하는 것 보다 재생에너지 확대가 장기적으로 더 경제적인 선택이다.
5. 석탄-암모니아 혼소 전환은 실효성이 없으므로 기존 전환 계획의 수정이 필요하다.


< 목 차 > 


1. 2024 정책 및 현황 업데이트 
1.1. 석탄발전소 설비용량 
1.2. 석탄발전소 이용률
1.3. 석탄발전 관련 정책 현황
1.4. 석탄발전과 온실가스 배출권 거래제


2. 효율적인 에너지 전환을 위한 탈석탄 로드맵 제안
2.1. 시나리오 설정
2.2. 시나리오 결과 분석


3. 석탄발전 폐지 로드맵 실현을 위한 정책 제언 및 향후 연구



DOI: 10.22982/NEXTRP.2025.09.07

관련 콘텐츠

연구진 소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