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기후· 에너지 정책 싱크탱크

Find the NEXT

사단법인 넥스트는 아시아의 넷제로 에너지 전환을
위한 비영리 기후· 에너지 정책 싱크탱크입니다.

SPOTLIGHT

NEXT Electricity Outlook 2025 - Part 2: Coal Phase-Out Watcher 지난 NEXT Electricity Outlook Part 1 에서는 향후 석탄발전 이용률 감소로 인해 석탄발전의 경제성이 악화 될 것이라는 점을 전망했다. 본 연구 Part 2에서는 석탄발전소가 운영하는 동안 경제성을 유지할 수 있는 최적의 탈석탄 로드맵을 제시하며, 이를 통해 석탄발 전소 운영의 불확실성과 경제적 위험을 줄여, 재생에너지로의 전환을 촉진하는 데 기여하고자 한다. 서론에서는 국내 석탄발전의 현황을 점검하여 정책적 개선은 없고 석탄발전소 운영 여건이 더 악화되었음을 확인했다. 다음으로 온실 가스 감축을 위한 최적의 석탄 감축 로드맵을 도출했다. 이때, 현 상황을 현실적으로 반영하면서, 온실가스 감축 목표와 재생에너지 보급 속도 등이 석탄 감축 로드맵에 어떻게 영향을 주는지 분석할 수 있도록 시나리오를 설계했다. 시나리오 분석 결과, 본 연구의 핵심 메시지는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핵심 메시지>1. 현재 제11차 전력수급기본계획을 유지한다면 2035년 이후 대부분 석탄발전소는 경제성을 잃는다.2. 국가 재생에너지 목표를 달성하지 못하면 온실가스 감축 목표 달성을 위해 석탄발전소 가동중단은 불가피하다.3. 11차 전기본에서의 연료전환 계획이 수정될 경우, 2035년 이전 탈석탄을 달성할 수 있다.4. 석탄 발전을 운영하는 것 보다 재생에너지 확대가 장기적으로 더 경제적인 선택이다.5. 석탄-암모니아 혼소 전환은 실효성이 없으므로 기존 전환 계획의 수정이 필요하다.< 목 차 > 1. 2024 정책 및 현황 업데이트 1.1. 석탄발전소 설비용량 1.2. 석탄발전소 이용률1.3. 석탄발전 관련 정책 현황1.4. 석탄발전과 온실가스 배출권 거래제2. 효율적인 에너지 전환을 위한 탈석탄 로드맵 제안2.1. 시나리오 설정2.2. 시나리오 결과 분석3. 석탄발전 폐지 로드맵 실현을 위한 정책 제언 및 향후 연구DOI: 10.22982/NEXTRP.2025.09.07 2025.09.07
석유화학산업단지의 전환, 지역에서 답을 찾다 국내 3대 석유화학단지(여수, 대산, 울산)의 위기가 지역경제를 심각하게 위협하고 있다. 그러나 정부의 석유화학 대책은 실효성이 부족하고 각 단지별 위기 양상과 대응 역량을 고려한 지역 맞춤형 전환전략이 부재한 상황이다. 국내 석유화학산업은 차별화된 소재와 혁신 공정기술을 갖춘 신성장 산업으로 전환해야 하며, 지역 침체를 완화할 수 있는 실질적 투자가 필요하다. --> 석유화학산업의 구조적 침체 글로벌 석유화학 공급과잉은 2022년부터 심화되었으며, 2025년 상반기까지도 지속되고 있다. 한국 석유화학산업도 스팀 크래커인 납사분해설비(NCC) 가동률이 하락하고 있으며, 글로벌 석유화학업체들과 유사한 구조조정 단계를 밟고 있다. 여수의 2024년 지방세 징수액은 전년대비 26.8% 급감했으며, 같은 시기 서산은 19.7%, 울산은 4.2%가 감소했다. 각 지역의 특수성과 여건을 반영한 실질적인 중장기 전환전략 수립이 시급한 이유다. --> 석유화학단지별 전환 전략 여수석유화학단지: 청정화학산업 전환을 위한 기술 테스트베드 --> ① NCC 배출량 90% 저감하는 전기가열로 공동투자 ② 신속한 CCUS 클러스터 인프라 구축 대산석유화학단지: 재활용·바이오 원료 상용화와 저탄소 인프라 도입 ① 대체원료 상용화를 위한 통합 생태계 조성 ② 히트펌프 중심의 저탄소 인프라 도입 울산석유화학단지: 청정수소와 플라스틱 재활용 사업 선도 ① 메탄 열분해 기반 수소생산지로 전환 ② 플라스틱 재활용 클러스터 재추진 --> 주요 전환기술의 경제성 히트펌프와 메탄 열분해는 장기적으로 생산단가를 낮추며 온실가스 배출을 완전히 감축할 수 있다. 전기가열로는 재생에너지 전력 사용에 따라 비용이 다소 증가하나 탄소배출을 90% 이상 감축할 수 있다. 3대 석유화학단지의 성공적인 전환을 위해서는 단기적으로 약 2.9조원의 투자가 이루어져야 하며, 재생에너지 인프라 확충과 금융지원을 통해 전환기술의 상용화를 촉진해야 한다. https://doi.or.kr/10.22982/NEXTIP2025.07.09 ※ 관련 보고서 --> *본 이슈브리프는 2024년 11월 발간된 『한국 석유화학산업의 넷제로 로드맵』의 후속편입니다. document.addEventListener("DOMContentLoaded", function() { document.title = "NEXT group | 석유화학산업단지의 전환, 지역에서 답을 찾다"; document.querySelector('meta[property="og:title"]').setAttribute("content", "NEXT group | 석유화학산업단지의 전환, 지역에서 답을 찾다"); let metaDescription = document.querySelector('meta[name="description"]'); if (!metaDescription) { metaDescription = document.createElement("meta"); metaDescription.name = "description"; document.head.appendChild(metaDescription); } metaDescription.setAttribute("content", "석유화학산업단지의 전환, 지역에서 답을 찾다"); }); 2025.07.09
기타 2025 언론인 해상풍력 연수 기후위기 시대, 에너지 전환의 현장을 배우다! ‘2025 언론인 해상풍력 연수’는 한국기자협회와 (사)넥스트가 공동으로 진행한 프로그램으로,기후위기 대응과 에너지 전환의 핵심 축으로 떠오른 해상풍력 산업을 산업적 관점에서 탐구하기 위해 마련되었습니다. 이번 연수는 3면이 바다로 둘러싸인 한국의 지리적 특성을 고려해,국내 해상풍력의 현황과 해외 선진 사례를 함께 살펴보는 것을 목표로 했습니다.국내 과정에서는 제주 한림해상풍력단지 등 주요 현장을 방문하고,전문가 강연을 통해 글로벌 시장과 국내 산업·정책 동향을 배웠습니다.해외 과정에서는 영국의 해상풍력 관련 기관과 산업 현장을 직접 탐방하며에너지 전환과 산업 생태계를 체감할 수 있었습니다. [기획 취지] 이번 연수는 기후변화 대응이라는 시대적 과제 속에서언론이 기후의 눈으로 사회를 바라보는 시각을 확장하기 위해 기획되었습니다.해상풍력은 에너지 전환의 중요한 전환점이자, 산업 재편의 기회를 상징합니다.이번 연수를 통해 중견 언론인들이 산업과 지역, 정책을 아우르는 새로운 관점에서해상풍력의 의미를 조명하고자 합니다. [프로그램 개요] 교육과정 1. 국내 교육과정(1) 기간 : 2025년 6월 13일(금) ~ 14일(토)(2) 장소 : 한국언론진흥재단 미디어교육원 및 현장방문 (제주)(3) 강연내용 - 글로벌 해상풍력 시장의 현황과 전망 : 장다울 OEP(해양 에너지 패스웨이) 대표 - 해상풍력 에너지 보급과 국내 산업 : 김은성 (사)넥스트 부대표 - 해상풍력 특별법과 국내 현황 : 최덕환 한국풍력산업협회 실장(4) 제주연수 - 제주 두모리 - 한림해상 풍력 2. 해외 교육과정(1) 기간 : 2025년 6월 22일(일) ~ 29일(일)(2) 장소 : 영국 현지 기관 탐방 *대상 : 한국기자협회 회원으로 해상풍력에 관심있는 7년차 이상 기자 10명 2025.10.04 /
이슈브리프 [칼럼] 2035 NDC, 규제 프레임을 넘어 새로운 성장전략으로 ■ NDC와 경제정책, 이제는 하나다정부가 2035년 국가온실가스감축목표(NDC) 수립을 위해 40%대부터 67%까지 네 가지 후보안을 제시했다. 그런데 이 논의를 지켜보면서 기시감이 든다. 여전히 “얼마나 줄일 것인가”라는 숫자 싸움에 머물러 있기 때문이다. 산업계는 부담을 호소하고, 환경단체는 더 높은 목표를 요구한다. 정부는 그 사이에서 줄타기하고 있다.그러나 이제 NDC와 경제정책 간의 거리는 사실상 없다. 이재명 정부의 경제성장전략에도 재생에너지 확대와 산업 탈탄소화가 핵심으로 포함되었다. EU의 탄소국경조정제(CBAM), 미국의 인플레이션감축법(IRA)은 이미 기후정책을 경제정책의 중심에 놓았다. 우리만 NDC를 여전히 “환경 프레임”으로만 다룰 수 있는가? 답은 명확히 '아니다'이다.  ■ 여전히 과거에 머문 정부의 NDC 프레임최근 환경부의 국회 기후특위 업무보고를 보면 답답함을 금할 수 없다. 부문별 감축 과제는 나열했지만, 어떻게 기업과 국민을 지원할 것인지에 대한 구체적 방안은 찾아볼 수 없다. 배출권거래제 유상할당 비율을 확대한다고 하면서도, 이를 통해 조성되는 수조 원의 재원을 어떻게 산업 전환에 재투자할지는 모호하다.더 큰 문제는 NDC 논의가 여전히 ‘목표 수치’ 프레임에 갇혀 있다는 점이다. 40%냐 61%냐를 놓고 대립하지만, 정작 그 목표를 어떻게 달성할 것인지, 그 과정에서 어떤 새로운 기회를 창출할 것인지에 대한 논의는 부재하다. 마치 1970년대 수출 목표액을 정하듯, 숫자만 정해놓고 “알아서 달성하라”는 식이다.  ■ NDC, 새로운 경제성장 지표로 전환해야이제 발상을 완전히 바꿔야 한다. NDC는 부담이 아니라 새로운 성장의 척도다. 과거 우리가 경제성장률과 수출액으로 경제 성과를 측정했다면, 이제는 탈탄소 생산공정과 녹색기술 경쟁력 등 NDC 목표가 국가 경쟁력의 핵심 지표가 되어야 한다.글로벌 시장은 이미 변했다. 애플은 협력업체에 RE100을 요구하고, 폭스바겐은 배터리 공급망의 탄소중립을 조건으로 건다. 탄소감축 실적이 없으면 수출 자체가 불가능한 시대가 왔다. 이런 상황에서 NDC를 여전히 ‘환경 규제’로만 보는 것은 시대착오적이다. 특히 한국처럼 수출 의존도가 높은 경제구조에서 NDC는 생존의 문제다. 미국의 관세 정책으로 인한 보호주의 무역 기조 전환을 단지 글로벌 무역환경 리스크로만 보지 말고 새로운 기회, 탄소중립기본법 제정 이후 표류하며 잃어버린 기간을 만회하는 기회로 삼아야 한다.  ■ 통합된 정책 대전환이 시급하다그렇다면 무엇을 해야 하는가? 첫째, 기후에너지환경부, 산업부, 기재부 등 관련 부처가 완전히 통합된 정책을 수립해야 한다. NDC 목표를 설정하는 부처와 산업정책을 담당하는 부처, 예산을 편성하는 부처가 따로 놀아서는 안 된다.구체적으로 ‘2035 녹색전환 통합전략’을 수립해야 한다. 이 전략에는 NDC 목표뿐 아니라, 이를 달성하기 위한 산업별 전환 로드맵, 필요한 재정 투자 규모, 지원 프로그램이 모두 포함되어야 한다. 대통령이 직접 주재하는 시스템을 만들어 관련 부처가 공동으로 정책을 수립·집행하는 체계를 만들어야 한다.둘째, ‘선(先)지원 후(後)규제’ 원칙을 확립해야 한다. 지금처럼 목표만 제시하고 “알아서 달성하라”는 방식으로는 산업계의 협력을 이끌어낼 수 없다. 먼저 충분한 지원책을 제시하고, 기업들이 전환할 수 있는 여건을 만든 후에 규제를 적용해야 한다.예를 들어, 2025년부터 2028년까지 3년간은 ‘골든타임’으로 설정하고, 이 기간 동안 녹색전환 투자에 대해 세액공제, 무이자 정책자금 지원, 전환 실패 시 손실보전 등 파격적인 지원을 제공해야 한다. 그리고 2029년부터 단계적으로 규제를 강화하는 것이다.  ■ NDC, 구체적 실행방안과 함께 제시되어야 한다.말만으로는 부족하다. 구체적인 숫자와 계획이 필요하다. 상상력을 발휘해 본다면, 2035년까지 10년간 정부 300조 원, 민간 700조 원을 투입하는 대규모 전환 프로젝트를 제시하는 것이다.재원 조달 방안도 명확하다. 우선 배출권 유상할당 확대로 발생하는 재원과 녹색채권 발행으로 추가 재원을 조달하고, 정책금융기관을 통해 민간투자를 레버리지하면 충분히 실현 가능하다는 목표를 제시해야 한다.이 자금은 산업별로 차별화된 전략에 따라 배분한다. 철강·석유화학 등 탄소집약 산업에는 공정전환 직접지원을, 반도체·배터리 등 첨단산업에는 RE100 전환지원을, 중소기업에는 컨설팅과 자금을 패키지로 제공한다. 특히 포스코의 수소환원제철, DRI 전기로 확대와 같은 게임체인저가 될 수 있는 기술에는 개발비용의 70% 이상을 정부가 부담해야 한다.  ■ 산업계 설득전략: “함께 가면 더 멀리 간다”산업계의 우려를 무시해서는 안 된다. 당장의 비용 부담과 불확실성에 대한 두려움은 충분히 이해할 만하다. 그러나 이제는 "혼자 가면 빨리 가지만, 함께 가면 멀리 간다"는 인식 전환이 필요하다.예를 든다면, 정부가 산업계에에게 통 큰 약속을 해야 한다. Zero Cost(초기 전환비용 제로), Zero Risk(전환 리스크 제로), Zero Regulation(전환기업 규제 면제), Zero Delay(행정 지연 제로)를 보장하고, Plus Profit(녹색 프리미엄), Plus Market(신시장 우선권), Plus Technology(기술이전), Plus Recognition(글로벌 인증)을 제공하는 것이다.실제로 이미 선제적으로 전환에 나선 기업들이 성과를 보이고 있다. 현대차는 전기차 전환으로 테슬라와 경쟁하는 글로벌 플레이어가 되었고, LG에너지솔루션은 배터리로 새로운 성장동력을 찾았다. SK하이닉스는 RE100 전환을 통해 글로벌 고객사의 신뢰를 확보했다. 이들의 성공이 증명하듯, 녹색전환은 비용이 아니라 투자이고, 위기가 아니라 기회다.  ■ 기업의 각성: “지원만 받고 변하지 않으면 도태될 것”그러나 정부의 파격적 지원만이 해답은 아니다. 기업 스스로가 근본적 변화 없이는 아무리 많은 지원도 밑 빠진 독에 물 붓기가 될 수 있다. 지금 대한민국의 기업들은 여전히 ESG를 ‘비용’으로 인식하는 경향이 강하다. 지속가능경영보고서는 화려하게 만들지만, 실제 사업전략과 투자 결정에서는 여전히 단기 수익성만 따진다. RE100을 선언하면서도 실제 재생에너지 전환은 미루고, 탄소중립을 약속하면서도 구체적 로드맵은 없다. 이런 ‘그린워싱’으로는 정부가 아무리 지원해도 글로벌 경쟁력을 확보할 수 없다.대한한국은 ‘코리아 R&D 패러독스’라는 뼈아픈 경험을 겪고 있다. GDP 대비 R&D 투자 비중은 세계 최고 수준이지만, 생산성 증가율은 OECD 최하위권이다. 왜 그럴까? 정부 지원금을 따내는 데만 집중하고, 진짜 혁신은 뒷전이었기 때문이다. 녹색전환에서도 같은 실수를 반복해서는 안 된다.기업들이 진정으로 변해야 할 방향은 명확하다. 정부가 막대한 재원을 지원한다 해도, 기업이 변하지 않으면 그저 연명하는 좀비기업으로 도태될 것이다. 반대로 기업이 진정으로 각성하고 전환에 나선다면, 정부 지원은 강력한 촉매제가 되어 글로벌 녹색 챔피언을 만들 수 있다. 한국 기업들에게 묻고 싶다. 정부가 지원하면 그저 받기만 할 것인가, 아니면 이를 지렛대 삼아 글로벌 녹색 리더가 될 것인가? 2035년의 승자는 가장 많은 지원을 받은 기업이 아니라, 가장 빠르고 과감하게 변화한 기업이 될 것이다.  ■ 국민과의 소통: “당신의 미래가 달라집니다”국민들에게도 명확한 비전과 혜택을 제시해야 한다. NDC 61% 달성이 단순히 지구를 위한 선행이 아니라, 당신과 당신 자녀의 삶을 바꾸는 일임을 설득해야 한다.녹색전환을 통해 얼마나 많은 일자리가 창출될 것인지, 이들 일자리의 평균 임금이 기존 제조업보다 높다던지 하는 구체적인 수치 제시가 필요하다. 또한 에너지 자립을 통해 전기요금을 얼마나 줄일 수 있는지 기후재난으로부터 안전한 도시에서 살 수 있다는 가능성을 제시해야한다.  ■ 글로벌 리더십: “First Mover Advantage”한국은 이미 반도체, 배터리, 조선 등에서 글로벌 리더십을 보여주었다. 이제 녹색전환에서도 선도국가가 될 수 있다. 특히 제조업 강국이면서 동시에 디지털 전환에 성공한 한국의 경험은, 개도국들에게 롤모델이 될 수 있다.2035년 NDC 61% 이상을 달성한다면, 한국은 아시아에서 최초로 선진국 수준의 탄소감축을 달성한 국가가 된다. 이는 단순한 명예가 아니라, 수조 달러 규모의 글로벌 녹색시장에서 주도권을 잡는 것을 의미한다. 한국의 녹색기술과 전환 경험이 새로운 수출 상품이 되고, K-Green Deal이 K-Pop처럼 세계적 브랜드가 될 수 있다.  ■ 정치적 리더십: “초당적 협력이 필요하다”NDC는 정권이 바뀌어도 흔들려서는 안 되는 국가 장기전략이다. 여야를 막론하고 2035 NDC를 초당적 과제로 인식하고 협력해야 한다. 국회는 ‘탄소중립기본법’ 개정을 통해 NDC 목표를 법제화하고, 필요한 예산을 안정적으로 확보해야 한다.특히 국회 기후특위는 단순한 감시·견제 기구를 넘어, 정부와 함께 정책을 만들어가는 협치 기구가 되어야 한다. 여야 정치인들이 NDC 목표를 놓고 정쟁을 벌이는 것이 아니라, 어떻게 하면 더 효과적으로 달성할 수 있을지를 놓고 경쟁해야 한다.  ■ NDC가 곧 성장전략 목표인 시대2035 NDC는 단순한 환경 목표가 아니다. 대한민국의 미래 10년을 결정하는 경제·사회 대전환 전략이다. 이제 우리는 선택의 기로에 서 있다. 과거의 규제 프레임에 머물러 갈등하고 지체할 것인가, 아니면 NDC를 새로운 성장동력으로 삼아 도약할 것인가.답은 명확하다. NDC 61% 이상의 도전적 목표를 설정하되, 이를 달성하기 위한 파격적인 지원과 통합된 정책을 제시해야 한다. 기후에너지환경부, 산업부, 기재부 등 각각의 정부부처가 한 목소리로 “2035년 탄소중립 선도국가 대한민국”이라는 비전을 제시하고, 큰 규모의 녹색전환 프로젝트를 추진해야 한다.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인식의 전환이다. NDC는 비용이 아니라 투자이고, 규제가 아니라 기회이며, 부담이 아니라 경쟁력이다. NDC가 곧 GDP인 시대, 그 전환을 주도하는 국가가 21세기의 승자가 될 것이다. 2035년, 대한민국이 녹색강국으로 우뚝 서 있는 모습을 그려본다. 그 첫걸음이 바로 지금, 2035 NDC를 제대로 설정하는 것이다. 2025.09.24 / 이주헌
보고서 NEXT Electricity Outlook 2025 - Part 2: Coal Phase-Out Watcher 지난 NEXT Electricity Outlook Part 1 에서는 향후 석탄발전 이용률 감소로 인해 석탄발전의 경제성이 악화 될 것이라는 점을 전망했다. 본 연구 Part 2에서는 석탄발전소가 운영하는 동안 경제성을 유지할 수 있는 최적의 탈석탄 로드맵을 제시하며, 이를 통해 석탄발 전소 운영의 불확실성과 경제적 위험을 줄여, 재생에너지로의 전환을 촉진하는 데 기여하고자 한다. 서론에서는 국내 석탄발전의 현황을 점검하여 정책적 개선은 없고 석탄발전소 운영 여건이 더 악화되었음을 확인했다. 다음으로 온실 가스 감축을 위한 최적의 석탄 감축 로드맵을 도출했다. 이때, 현 상황을 현실적으로 반영하면서, 온실가스 감축 목표와 재생에너지 보급 속도 등이 석탄 감축 로드맵에 어떻게 영향을 주는지 분석할 수 있도록 시나리오를 설계했다. 시나리오 분석 결과, 본 연구의 핵심 메시지는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핵심 메시지>1. 현재 제11차 전력수급기본계획을 유지한다면 2035년 이후 대부분 석탄발전소는 경제성을 잃는다.2. 국가 재생에너지 목표를 달성하지 못하면 온실가스 감축 목표 달성을 위해 석탄발전소 가동중단은 불가피하다.3. 11차 전기본에서의 연료전환 계획이 수정될 경우, 2035년 이전 탈석탄을 달성할 수 있다.4. 석탄 발전을 운영하는 것 보다 재생에너지 확대가 장기적으로 더 경제적인 선택이다.5. 석탄-암모니아 혼소 전환은 실효성이 없으므로 기존 전환 계획의 수정이 필요하다.< 목 차 > 1. 2024 정책 및 현황 업데이트 1.1. 석탄발전소 설비용량 1.2. 석탄발전소 이용률1.3. 석탄발전 관련 정책 현황1.4. 석탄발전과 온실가스 배출권 거래제2. 효율적인 에너지 전환을 위한 탈석탄 로드맵 제안2.1. 시나리오 설정2.2. 시나리오 결과 분석3. 석탄발전 폐지 로드맵 실현을 위한 정책 제언 및 향후 연구DOI: 10.22982/NEXTRP.2025.09.07 2025.09.07 / 이지우 외 3명

1:1문의하기

이메일 (필수)
제목 (필수)
내용(필수)
Q&A 등록
이용약관

개인정보보호법에 따라 회원가입 신청하시는 분께 수집하는 개인정보의 항목, 개인정보의 수집 및 이용목적, 개인정보의 보유 및 이용기간, 동의 거부권 및 동의 거부 시 불이익에 관한 사항을 안내 드리오니 자세히 읽은 후 동의하여 주시기 바랍 니다. 1. 수집하는 개인정보 이용자는 회원가입을 하지 않아도 정보 검색, 뉴스 보기 등 대부분의 Next group 동의 거부권 및 동의 거부 시 불이익 에 관한 사항을 안내 드리오니 자세히 읽은 후 동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개인정보보호법에 따라 회원가입 신청하시는 분께 수집하는 개인정보의 항목, 개인정보의 수집 및 이용목적, 개인정보의 개인정보보호법에 따라 회원가입 신청하시는 분께 수집하는 개인정보의 항목, 개인정보의 수집 및 이용목적, 개인정보의 보유 및 이용기간, 동의 거부권 및 동의 거부 시 불이익에 관한 사항을 안내 드리오니 자세히 읽은 후 동의하여 주시기 바랍 니다. 1. 수집하는 개인정보 이용자는 회원가입을 하지 않아도 정보 검색, 뉴스 보기 등 대부분의 Next group 동의 거부권 및 동의 거부 시 불이익 에 관한 사항을 안내 드리오니 자세히 읽은 후 동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개인정보보호법에 따라 회원가입 신청하시는 분께 수집하는 개인정보의 항목, 개인정보의 수집 및 이용목적, 개인정보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