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기후· 에너지 정책 싱크탱크

Find the NEXT

사단법인 넥스트는 아시아의 넷제로 에너지 전환을
위한 비영리 기후· 에너지 정책 싱크탱크입니다.

SPOTLIGHT

그린철강, 생각보다 가까운 기회 그린철강 시장에 빠르게 진입하려면 직접환원철(DRI)을 활용한 전기로 방식(DRI-EAF)을 도입해야 한다. 본 이슈페이퍼는 가스 DRI와 수소 DRI를 경제적으로 확보하는 방안을 제시했다. --> ❔ 왜 중요한가 - 맥락: 전통적인 고로-전로 방식으로 생산되는 철강은 공급과잉 상태다. 반면, 탄소 배출을 줄인 그린철강은 공급능력에 비해 수요가 빠르게 늘고 있다. 세계 철강사들이 그린철강 시장을 선점하기 위해 경쟁적으로 투자에 나선 가운데 한국도 하이렉스 같은 수소환원제철기술을 개발하고 있지만, 상용화 목표 시점은 유럽∙중국보다 4~5년 늦다. 수소환원제철 기술 완성만 기다렸다가는 신시장을 놓칠 수 있다. 전기로에 쇳물 대신 철광석에서 산소를 떼어낸 직접환원철(DRI)을 더 많이 투입하면 기존 철강보다 탄소 배출을 빠른 시일 내 81%까지 줄일 수 있다. 따라서 고품질의 DRI를 경제적으로 도입하는 방안에 대해 전략적인 고민이 필요하다. --> ? 주요 내용: 단기적으로 중동의 가스 DRI를, 장기적으로 호주의 수소 DRI를 조달하는 전략을 구축해야 한다. DRI 기반 전기로로 전환하면 생산단가가 18% 가량 인상되는데, 이를 보전하기 위해 탄소차액계약제도(CCfD) 같은 정책 지원이 필요하다. --> ? 깊이 보기: 가스 DRI는 중동에서 한국과 가깝고 정치외교적 리스크와 통상제약이 없는 국가 가운데 중동과 호주를 잠재적 DRI 수급처로 고려할 수 있다. 둘 중 가스 DRI는 중동의 비용 경쟁력이 단연코 높다. 국가 보조금으로 천연가스와 전력 가격을 매우 낮게 유지하고 있어 연료비가 호주의 21% 수준이기 때문이다. 계획 중인 생산능력도 호주보다 두 배 이상 많다. 이미 중국과 일본 자본이 중동에 많이 진출해 있다. 수소 DRI는 호주에서 수소 DRI는 호주가 중동보다 경쟁력 있다. 수소 DRI 경제성은 재생전력 가격에 달려있는데 호주의 태양광 발전단가(LCOE)가 사우디아라비아보다 낮고 세계적인 철광석 산지로 철광석 조달 조건도 좋기 때문이다. 호주, 중동 철강사뿐 아니라 일본, 중국 기업도 수소 DRI 생산기지 조성을 추진 중이다. 포스코도 서호주에서 관련 프로젝트를 추진 중이나 현재 수준의 투자만으로는 필요량을 확보할 수 없다. 문제는 비용 가스 DRI로 철강 생산공정을 전환할 경우 기존의 고로-전로 방식보다 약 18% 생산단가가 인상된다. 인상된 비용의 대부분은 원료비에서 발생한다. 탄소차액계약제도(CCfD)는 저탄소 기술 도입으로 인한 기업의 추가적인 비용을 정부가 보전해주는 제도이다. 해외에서 DRI를 도입해야 하는 기업의 투자 리스크를 현저히 낮출 수 있다. CCfD를 통해 250만톤급 고로를 DRI-EAF로 전환 시 15년간 총 4.2조원의 정부 예산이 소요될 전망이다. --> ? 연구자의 한마디: 그린철강이라는 새로운 시장을 선점하지 않으면 한국 철강업계의 미래는 없다. 지금 당장 실행 가능한 전략을 마련하고 실행해야 한다. ※ 관련 보고서 --> *본 이슈브리프는 2024년 1월 발간된 『한국 철강산업의 넷제로 로드맵 및 전략Ⅱ』의 후속편입니다. document.addEventListener("DOMContentLoaded", function() { document.title = "NEXT group | 그린철강, 생각보다 가까운 기회"; document.querySelector('meta[property="og:title"]').setAttribute("content", "NEXT group | 그린철강, 생각보다 가까운 기회"); let metaDescription = document.querySelector('meta[name="description"]'); if (!metaDescription) { metaDescription = document.createElement("meta"); metaDescription.name = "description"; document.head.appendChild(metaDescription); } metaDescription.setAttribute("content", "그린철강, 생각보다 가까운 기회"); }); 2025.04.04
기회의 창: 국내 해상풍력 공급망 주요 부품 생산능력 정량분석 국내 해상풍력 생산능력을 정량화하고, 수급격차를 해소하기 위한 투자 규모를 산출했다. 우리나라 해상풍력 공급망을 포괄적으로 분석해 구체적인 수치를 제시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 왜 중요한가 - 맥락: 2022년 풍력 고정가격계약 경쟁입찰 제도가 도입되고, 2024년 해상풍력 경쟁입찰 로드맵이 발표된데 이어 최근 해상풍력 특별법이 통과되는 등 국내 해상풍력 시장 기반이 조금씩 확대되고 있다. 이르면 올해 안에 해상풍력 수요가 빠르게 증가할 것으로 보이지만, 국내 공급망이 이에 얼마나 준비돼 있는지는 아직 명확하지 않다. 해상풍력 증가로 인한 경제적 효과를 온전히 누리려면 국내 공급망 산업을 육성해야 한다. 본 이슈페이퍼는 국내 해상풍력 공급망 산업 육성 정책을 수립할 때 참고할 수 있도록, 국내 기업의 생산능력을 정량화해 부품별 수급격차를 분석하고 구체적인 투자 규모를 제시했다. --> 주요 내용: 하부구조물과 케이블(내부망/외부망), 계류선은 수요를 넘는 생산능력을 갖췄다. 터빈 시스템(나셀, 블레이드, 타워)과 케이블(다이나믹)은 공급부족이 예상된다. 부족한 부품을 국내에서 조달하려면 2030년까지 최소 2조3100억원에서 최대 3조360억원의 투자가 필요하다. --> Zoom-in: 공급 전망 터빈(나셀, 블레이드, 타워), 하부구조물(모노파일, 자켓, 부유체), 케이블(내부망-고정식, 내부망-부유식, 외부망), 계류선(로프, 체인) 총 11개 부품의 국내 생산능력을 조사했다. 2024~2030년을 분석기간으로 삼아 두 가지 공급 시나리오를 설정했다. 현재(2024년) 생산능력이 유지된다고 가정한 ‘Baseline 시나리오’, 각 기업의 투자 계획이 실현돼 지금보다 생산능력이 증가한다고 가정한 ‘Planned 시나리오’ 이렇게 두 가지다. 수요 전망 수요도 두 가지 시나리오를 기반으로 예측했다. 정부가 2026년까지 공고한 연도별 해상풍력 경쟁입찰 물량 가운데 최소 입찰 물량이 2030년까지 이어진다고 가정한 ‘Lower-bound 시나리오’, 최대 입찰 물량이 2030년까지 지속된다고 가정한 ‘Upper-bound 시나리오’다. 수급 격차 이를 토대로 수급격차 분석 결과, 거의 모든 수요∙공급 시나리오 조합에서 하부구조물(모노파일, 자켓, 부유체)과 케이블(내부망-고정식, 외부망), 계류선은 수요 이상을 생산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터빈 시스템(나셀, 블레이드, 타워)은 대부분의 시나리오 조합에서 공급이 부족하며, 특히 15MW급 터빈 시스템은 당장 올해부터 공급부족이 가시화할 것으로 예상된다. 케이블(내부망-부유식)도 내년부터 공급 부족이 발생할 것으로 보인다. 격차를 메워라 부족한 부품을 수요 전망치만큼 생산하려면 기존 증설 계획 외에도 2조3100억~3조360억원의 추가 투자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15MW급 나셀은 2030년까지 국산 상용화 가능성이 없으므로, 해외 기업과의 협력 및 합작법인 설립 등으로 국내 OEM 생산을 유도해야 한다. --> 제언: 해상풍력 공급망 산업 지원 전략을 수립하려면 국내 생산역량과 수급 격차를 정량적으로 파악해야 한다. 기업이 수요를 미리 예측하고 투자를 단행할 수 있도록 최소한 2030년까지라도 경쟁입찰 로드맵을 확장 발표해야 한다. 국내 기업과 외국계 기업의 협력이 지연되지 않도록 정부는 적극적인 금융지원과 해상풍력 보급 장기 로드맵을 수립해야 한다. document.addEventListener("DOMContentLoaded", function() { document.title = "NEXT group | 기회의 창: 국내 해상풍력 공급망 주요 부품 생산능력 정량분석"; document.querySelector('meta[property="og:title"]').setAttribute("content", "NEXT group | 기회의 창: 국내 해상풍력 공급망 주요 부품 생산능력 정량분석"); let metaDescription = document.querySelector('meta[name="description"]'); if (!metaDescription) { metaDescription = document.createElement("meta"); metaDescription.name = "description"; document.head.appendChild(metaDescription); } metaDescription.setAttribute("content", "국내 해상풍력 생산능력을 정량화하고, 수급격차를 해소하기 위한 투자 규모를 산출했다. 우리나라 해상풍력 공급망을 포괄적으로 분석해 구체적인 수치를 제시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 ? 언론 보도 '바람'서 87조 부가가치…"3조 공급망 투자 필요" [머니투데이] “내수 없이 수출 없다”... 풍력 산업 생존 조건, 공급망부터 살려야 [이뉴스투데이] 2025.03.17
탄소예산 데이터베이스 지구 평균기온 상승을 산업화 이전 대비 1.5°C로 제한하기 위해서 우리나라는 2025년까지 2035 ‘국가결정기여(NDC, Nationally Determined Contribution)’ 목표를 유엔에 제출해야 합니다. 본 데이터베이스는 탄소예산이라는 과학적 배출 허용량을 토대로 국내 2035 NDC 목표를 설정하고 2050년 넷제로까지의 배출량 경로를 보여줍니다. 다양한 방법론과 가정을 적용한 결과를 볼 수 있다는 것이 본 데이터베이스의 특징입니다. 또한 배출량 목표의 실현 가능성도 고려함으로써 국제 사회의 기후변화 대응 노력에 기여하고자 합니다. var divElement = document.getElementById("viz1739757624060"); var vizElement = divElement.getElementsByTagName("object")[0]; vizElement.style.width = "1280px"; vizElement.style.height = "795px"; var scriptElement = document.createElement("script"); scriptElement.src = "https://public.tableau.com/javascripts/api/viz_v1.js"; vizElement.parentNode.insertBefore(scriptElement, vizElement); document.addEventListener("DOMContentLoaded", function() { document.title = "NEXT group | 탄소예산 데이터베이스"; document.querySelector('meta[property="og:title"]').setAttribute("content", "NEXT group | 탄소예산 데이터베이스"); let metaDescription = document.querySelector('meta[name="description"]'); if (!metaDescription) { metaDescription = document.createElement("meta"); metaDescription.name = "description"; document.head.appendChild(metaDescription); } metaDescription.setAttribute("content", "지구 평균기온 상승을 산업화 이전 대비 1.5°C로 제한하기 위해서 우리나라는 2025년까지 2035 ‘국가결정기여(NDC, Nationally Determined Contribution)’ 목표를 유엔에 제출해야 합니다. 본 데이터베이스는 탄소예산이라는 과학적 배출 허용량을 토대로 국내 2035 NDC 목표를 설정하고 2050년 넷제로까지의 배출량 경로를 보여줍니다. 다양한 방법론과 가정을 적용한 결과를 볼 수 있다는 것이 본 데이터베이스의 특징입니다. 또한 배출량 목표의 실현 가능성도 고려함으로써 국제 사회의 기후변화 대응 노력에 기여하고자 합니다. "); }); 2025.02.14
[정책 제안서] 2025 대한민국 경제 재도약을 위한 정책 제안서 대한민국 경제 재도약을 위한 ‘GREAT RESET’이 필요합니다.대한민국 성장엔진이 식어가고 있습니다. 미∙중 패권갈등, 블록경제의 부활, 선진국의 기후 무역장벽 등 글로벌 환경이 급변하면서 우리나라 경제 성장을 이끌었던 제조업은 경쟁력을 잃고 있습니다. 4일 사단법인 넥스트는 대한민국 경제의 재도약을 위해 내수 활성화, 신성장동력 창출, 온실가스 감축 현실화를 핵심으로 하는 2025년 ‘GREAT RESET’ 4대 정책을 제안합니다.① 내수 활성화를 위한 산업 지평을 해양으로 넓혀야 합니다. 해상풍력은 단순히 재생에너지를 확충하기 위한 수단이 아닙니다. 제조, 설치, 유지보수 등 전체 가치사슬 산업의 성장을 통해 내수산업을 활성화하는 전략으로 업그레이드해야 합니다. 육지를 넘어 바다를 넓게 바라보아야 합니다.② 전력망 인프라 확대를 대한민국 신성장동력으로 격상해야 합니다. 단순히 송전선로만 무작정 확충하는 과거의 방식에 머무르지 말고, 새로운 미래를 준비할 혁신적 그리드 기술을 조기에 도입해야 합니다. 보다 과감한 재생에너지 확대 목표를 세우고, 이를 달성하기 위한 국가 전력망 인프라 종합대책을 수립해야 합니다.③ 대한민국 미래 제조업으로의 탈바꿈을 위한 과감한 투자가 필요합니다. 미국과 EU처럼 탈탄소 공정으로 전환하는 기업을 위한 전폭적인 지원 정책이 필요합니다. 기후 리스크가 큰 철강, 반도체, 석유화학, 자동차 등의 산업계가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도록 보조금 지급과 같은 과감한 정책이 필요합니다.④ 지금이야말로 국가의 경제 기획 기능이 절실한 때입니다. 뉴노멀의 큰 그림을 그리려면 국가 기획예산 기능 강화는 필수입니다. 거대 공룡 부처가 되어버린 現기획재정부를 혁신∙개편하여 정책 동력을 확보해야 합니다.보다 구체적인 제안은 첨부 파일에서 확인하세요. 언론 보도국내 해상풍력 용량 14.3GW까지 확대 시, 77만명 고용창출 효과[ESG경제]트럼프발 경제 충격... 기후정책 새 틀 짜야 산다[내일신문][안희민의 에너지산책] '조기대선' 정국에서 재평가 받는 재생에너지[데일리한국] 2025.02.04
기타 미국 재생에너지 세액공제의 이해 미국 인플레이션 감축법(IRA)을 통해 우리에게 친숙해진 미국의 재생에너지 세액공제 방식을 설명하고 우리나라의 재생에너지 정책 수립에 참고할 만한 인사이트를 제공하고자 한다. 특히, 재생에너지 지원의 근간이 되는 투자세액공제(ITC)와 생산세액공제(PTC)에 대해 깊이 설명하면서, 우리나라 배터리 업체가 받은 첨단 제조업 생산세액공제(Advanced Manufacturing Production Credit)에 대해서도 일부 다뤘다. 미국 신재생 투자 활성화는 2005년 ‘에너지정책법(Energy Policy Act of 2005)’ 이후 세액공제 비율이 10%에서 30%로 확대되며 시작됨. 높은 세금공제 혜택을 얻고자 하는 투자자들이 참여할 수 있도록 유한책임회사(LLC)를 중첩하는 구조의 세금 자산화(Tax Equity) 시장이 발달했으나, 높은 세무 전문성이 요구되고 초기에 대규모 세액공제를 흡수해야 했기 때문에 대형 금융권에서만 유행하는 투자 방식이었음. 2022년 ‘인플레이션 감축법(Inflation Reduction Act)’의 제정으로 이러한 환경이 급변해 일반 가정의 전기자동차(EV)부터 대형 탄소포집, 이용 및 저장(CCUS) 시설에 이르기까지 세액공제의 범위가 확대되었고, ‘세액공제의 양도(Transfer)’ 와 ‘직접 지급(Direct Pay)’ 공제로 인해 투자 구조가 유연해져 다양한 투자자를 유인하게 됨. IRA 세액공제 방식의 핵심은 공제액을 이용하여 투자자의 세금을 직접 감액하는 것으로, 특별한 투자 및 대출 구조를 필요로 하지만 최적화될 경우 첫 해에 큰 규모의 세액(건설 비용의 약 30%~70% 및 다양한 추가 공제)을 직접 공제받을 수 있음. 단, 세액공제는 투자자가 직접 법인세 세금 신고를 통해 진행하며 언제든지 미국 국세청(IRS)의 조사 결과에 따라 회수될 수 있어(Recapture) 주주들은 적절한 투자 형식을 유지하기 위해 법인 구조와 세법 및 세무회계의 다양한 이슈들을 관리해야 함. 투자세액공제(ITC)와 생산세액공제(PTC)는 특히 재생에너지에 특화된 방식으로 태양광 발전에 PTC가 적용되기 시작하면서 발전량, 투자비, 기대 이익의 수준에 따라 ITC와 비교해 선택이 가능함. 에너지 분야 투자는 전반적인 경제에도 영향을 끼쳐 GDP 1.9조 달러 가치 상승, 일자리 연 평균 1.2백만 개 추가 등의 성과가 나타났으며, 전력 가격 안정화에도 기여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음. --> 미국식 세액공제의 배경 IRA 탄생 배경 IRA의 신재생 지원 방법 세액공제를 활용한 신재생 투자 미국 세제 및 세액공제 특징 미국 세제 세액공제 특징 신재생 세액공제 요소 및 방식 법인 구조 세액공제 적용 실무 ITC 공제액 반환 위험 발전소 투자 방식 신재생 투자를 위한 투자세액공제 및 생산세액공제 제조사를 위한 생산세액공제 경제적 영향 마치며 document.addEventListener("DOMContentLoaded", function() { document.title = "NEXT group | 미국 재생에너지 세액공제의 이해"; document.querySelector('meta[property="og:title"]').setAttribute("content", "NEXT group | 미국 재생에너지 세액공제의 이해"); let metaDescription = document.querySelector('meta[name="description"]'); if (!metaDescription) { metaDescription = document.createElement("meta"); metaDescription.name = "description"; document.head.appendChild(metaDescription); } metaDescription.setAttribute("content", "미국 재생에너지 세액공제의 이해"); }); 2025.04.17 / 천천히 아름다운 생각 이민호
이슈&폴리시 해상풍력특별법 시행과 향후 과제 지난 3월18일 공포된 「해상풍력특별법」은 대한민국 재생에너지 확대는 물론 해상풍력 보급 확대의 기틀을 마련하였다고 평가할 수 있다. 특히 해상풍력발전은 연관된 제조 산업에 광범위한 경제 파급효과 미쳐 국내 내수시장을 활성화할 대안으로도 평가받고 있다. 하지만 세부 내용들은 시행령으로 대부분 위임한 상황이다. 따라서, 「해상풍력특별법」이 본연의 역할을 제대로 해나가기 위해서는 합리적인 시행령 작성이 무엇보다도 중요하며, 해상풍력발전이 국가 경제에 미치는 파급효과에 대한 인식 증대와 함께 국가적 산업 정책의 전환, 예산 우선순위 변경 등 발상의 전환이 필요할 때다. 들어가며 해상풍력특별법 제정 배경과 경과 해상풍력특별법의 주요 내용 향후과제 특별법과 목적에 부합하는 시행령 작성 필수 예비지구 지정 요건과 민관 협의 발전사업자 선정과 환경성평가 기준 마련 정부와 지방자치단체의 정책 집행 역량 강화 해상풍력발전 조기 건설을 위한 정부 지원 강화 마치며 document.addEventListener("DOMContentLoaded", function() { document.title = "NEXT group | 해상풍력특별법 시행과 향후 과제"; document.querySelector('meta[property="og:title"]').setAttribute("content", "NEXT group | 해상풍력특별법 시행과 향후 과제"); let metaDescription = document.querySelector('meta[name="description"]'); if (!metaDescription) { metaDescription = document.createElement("meta"); metaDescription.name = "description"; document.head.appendChild(metaDescription); } metaDescription.setAttribute("content", "해상풍력특별법 시행과 향후 과제"); }); 2025.04.13 / 이주헌 외 1명
이슈페이퍼 그린철강, 생각보다 가까운 기회 그린철강 시장에 빠르게 진입하려면 직접환원철(DRI)을 활용한 전기로 방식(DRI-EAF)을 도입해야 한다. 본 이슈페이퍼는 가스 DRI와 수소 DRI를 경제적으로 확보하는 방안을 제시했다. --> ❔ 왜 중요한가 - 맥락: 전통적인 고로-전로 방식으로 생산되는 철강은 공급과잉 상태다. 반면, 탄소 배출을 줄인 그린철강은 공급능력에 비해 수요가 빠르게 늘고 있다. 세계 철강사들이 그린철강 시장을 선점하기 위해 경쟁적으로 투자에 나선 가운데 한국도 하이렉스 같은 수소환원제철기술을 개발하고 있지만, 상용화 목표 시점은 유럽∙중국보다 4~5년 늦다. 수소환원제철 기술 완성만 기다렸다가는 신시장을 놓칠 수 있다. 전기로에 쇳물 대신 철광석에서 산소를 떼어낸 직접환원철(DRI)을 더 많이 투입하면 기존 철강보다 탄소 배출을 빠른 시일 내 81%까지 줄일 수 있다. 따라서 고품질의 DRI를 경제적으로 도입하는 방안에 대해 전략적인 고민이 필요하다. --> ? 주요 내용: 단기적으로 중동의 가스 DRI를, 장기적으로 호주의 수소 DRI를 조달하는 전략을 구축해야 한다. DRI 기반 전기로로 전환하면 생산단가가 18% 가량 인상되는데, 이를 보전하기 위해 탄소차액계약제도(CCfD) 같은 정책 지원이 필요하다. --> ? 깊이 보기: 가스 DRI는 중동에서 한국과 가깝고 정치외교적 리스크와 통상제약이 없는 국가 가운데 중동과 호주를 잠재적 DRI 수급처로 고려할 수 있다. 둘 중 가스 DRI는 중동의 비용 경쟁력이 단연코 높다. 국가 보조금으로 천연가스와 전력 가격을 매우 낮게 유지하고 있어 연료비가 호주의 21% 수준이기 때문이다. 계획 중인 생산능력도 호주보다 두 배 이상 많다. 이미 중국과 일본 자본이 중동에 많이 진출해 있다. 수소 DRI는 호주에서 수소 DRI는 호주가 중동보다 경쟁력 있다. 수소 DRI 경제성은 재생전력 가격에 달려있는데 호주의 태양광 발전단가(LCOE)가 사우디아라비아보다 낮고 세계적인 철광석 산지로 철광석 조달 조건도 좋기 때문이다. 호주, 중동 철강사뿐 아니라 일본, 중국 기업도 수소 DRI 생산기지 조성을 추진 중이다. 포스코도 서호주에서 관련 프로젝트를 추진 중이나 현재 수준의 투자만으로는 필요량을 확보할 수 없다. 문제는 비용 가스 DRI로 철강 생산공정을 전환할 경우 기존의 고로-전로 방식보다 약 18% 생산단가가 인상된다. 인상된 비용의 대부분은 원료비에서 발생한다. 탄소차액계약제도(CCfD)는 저탄소 기술 도입으로 인한 기업의 추가적인 비용을 정부가 보전해주는 제도이다. 해외에서 DRI를 도입해야 하는 기업의 투자 리스크를 현저히 낮출 수 있다. CCfD를 통해 250만톤급 고로를 DRI-EAF로 전환 시 15년간 총 4.2조원의 정부 예산이 소요될 전망이다. --> ? 연구자의 한마디: 그린철강이라는 새로운 시장을 선점하지 않으면 한국 철강업계의 미래는 없다. 지금 당장 실행 가능한 전략을 마련하고 실행해야 한다. ※ 관련 보고서 --> *본 이슈브리프는 2024년 1월 발간된 『한국 철강산업의 넷제로 로드맵 및 전략Ⅱ』의 후속편입니다. document.addEventListener("DOMContentLoaded", function() { document.title = "NEXT group | 그린철강, 생각보다 가까운 기회"; document.querySelector('meta[property="og:title"]').setAttribute("content", "NEXT group | 그린철강, 생각보다 가까운 기회"); let metaDescription = document.querySelector('meta[name="description"]'); if (!metaDescription) { metaDescription = document.createElement("meta"); metaDescription.name = "description"; document.head.appendChild(metaDescription); } metaDescription.setAttribute("content", "그린철강, 생각보다 가까운 기회"); }); 2025.04.04 / 고은
이슈페이퍼 기회의 창: 국내 해상풍력 공급망 주요 부품 생산능력 정량분석 국내 해상풍력 생산능력을 정량화하고, 수급격차를 해소하기 위한 투자 규모를 산출했다. 우리나라 해상풍력 공급망을 포괄적으로 분석해 구체적인 수치를 제시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 왜 중요한가 - 맥락: 2022년 풍력 고정가격계약 경쟁입찰 제도가 도입되고, 2024년 해상풍력 경쟁입찰 로드맵이 발표된데 이어 최근 해상풍력 특별법이 통과되는 등 국내 해상풍력 시장 기반이 조금씩 확대되고 있다. 이르면 올해 안에 해상풍력 수요가 빠르게 증가할 것으로 보이지만, 국내 공급망이 이에 얼마나 준비돼 있는지는 아직 명확하지 않다. 해상풍력 증가로 인한 경제적 효과를 온전히 누리려면 국내 공급망 산업을 육성해야 한다. 본 이슈페이퍼는 국내 해상풍력 공급망 산업 육성 정책을 수립할 때 참고할 수 있도록, 국내 기업의 생산능력을 정량화해 부품별 수급격차를 분석하고 구체적인 투자 규모를 제시했다. --> 주요 내용: 하부구조물과 케이블(내부망/외부망), 계류선은 수요를 넘는 생산능력을 갖췄다. 터빈 시스템(나셀, 블레이드, 타워)과 케이블(다이나믹)은 공급부족이 예상된다. 부족한 부품을 국내에서 조달하려면 2030년까지 최소 2조3100억원에서 최대 3조360억원의 투자가 필요하다. --> Zoom-in: 공급 전망 터빈(나셀, 블레이드, 타워), 하부구조물(모노파일, 자켓, 부유체), 케이블(내부망-고정식, 내부망-부유식, 외부망), 계류선(로프, 체인) 총 11개 부품의 국내 생산능력을 조사했다. 2024~2030년을 분석기간으로 삼아 두 가지 공급 시나리오를 설정했다. 현재(2024년) 생산능력이 유지된다고 가정한 ‘Baseline 시나리오’, 각 기업의 투자 계획이 실현돼 지금보다 생산능력이 증가한다고 가정한 ‘Planned 시나리오’ 이렇게 두 가지다. 수요 전망 수요도 두 가지 시나리오를 기반으로 예측했다. 정부가 2026년까지 공고한 연도별 해상풍력 경쟁입찰 물량 가운데 최소 입찰 물량이 2030년까지 이어진다고 가정한 ‘Lower-bound 시나리오’, 최대 입찰 물량이 2030년까지 지속된다고 가정한 ‘Upper-bound 시나리오’다. 수급 격차 이를 토대로 수급격차 분석 결과, 거의 모든 수요∙공급 시나리오 조합에서 하부구조물(모노파일, 자켓, 부유체)과 케이블(내부망-고정식, 외부망), 계류선은 수요 이상을 생산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터빈 시스템(나셀, 블레이드, 타워)은 대부분의 시나리오 조합에서 공급이 부족하며, 특히 15MW급 터빈 시스템은 당장 올해부터 공급부족이 가시화할 것으로 예상된다. 케이블(내부망-부유식)도 내년부터 공급 부족이 발생할 것으로 보인다. 격차를 메워라 부족한 부품을 수요 전망치만큼 생산하려면 기존 증설 계획 외에도 2조3100억~3조360억원의 추가 투자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15MW급 나셀은 2030년까지 국산 상용화 가능성이 없으므로, 해외 기업과의 협력 및 합작법인 설립 등으로 국내 OEM 생산을 유도해야 한다. --> 제언: 해상풍력 공급망 산업 지원 전략을 수립하려면 국내 생산역량과 수급 격차를 정량적으로 파악해야 한다. 기업이 수요를 미리 예측하고 투자를 단행할 수 있도록 최소한 2030년까지라도 경쟁입찰 로드맵을 확장 발표해야 한다. 국내 기업과 외국계 기업의 협력이 지연되지 않도록 정부는 적극적인 금융지원과 해상풍력 보급 장기 로드맵을 수립해야 한다. document.addEventListener("DOMContentLoaded", function() { document.title = "NEXT group | 기회의 창: 국내 해상풍력 공급망 주요 부품 생산능력 정량분석"; document.querySelector('meta[property="og:title"]').setAttribute("content", "NEXT group | 기회의 창: 국내 해상풍력 공급망 주요 부품 생산능력 정량분석"); let metaDescription = document.querySelector('meta[name="description"]'); if (!metaDescription) { metaDescription = document.createElement("meta"); metaDescription.name = "description"; document.head.appendChild(metaDescription); } metaDescription.setAttribute("content", "국내 해상풍력 생산능력을 정량화하고, 수급격차를 해소하기 위한 투자 규모를 산출했다. 우리나라 해상풍력 공급망을 포괄적으로 분석해 구체적인 수치를 제시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 ? 언론 보도 '바람'서 87조 부가가치…"3조 공급망 투자 필요" [머니투데이] “내수 없이 수출 없다”... 풍력 산업 생존 조건, 공급망부터 살려야 [이뉴스투데이] 2025.03.17 / 김은성 외 1명

1:1문의하기

이메일 (필수)
제목 (필수)
내용(필수)
Q&A 등록
이용약관

개인정보보호법에 따라 회원가입 신청하시는 분께 수집하는 개인정보의 항목, 개인정보의 수집 및 이용목적, 개인정보의 보유 및 이용기간, 동의 거부권 및 동의 거부 시 불이익에 관한 사항을 안내 드리오니 자세히 읽은 후 동의하여 주시기 바랍 니다. 1. 수집하는 개인정보 이용자는 회원가입을 하지 않아도 정보 검색, 뉴스 보기 등 대부분의 Next group 동의 거부권 및 동의 거부 시 불이익 에 관한 사항을 안내 드리오니 자세히 읽은 후 동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개인정보보호법에 따라 회원가입 신청하시는 분께 수집하는 개인정보의 항목, 개인정보의 수집 및 이용목적, 개인정보의 개인정보보호법에 따라 회원가입 신청하시는 분께 수집하는 개인정보의 항목, 개인정보의 수집 및 이용목적, 개인정보의 보유 및 이용기간, 동의 거부권 및 동의 거부 시 불이익에 관한 사항을 안내 드리오니 자세히 읽은 후 동의하여 주시기 바랍 니다. 1. 수집하는 개인정보 이용자는 회원가입을 하지 않아도 정보 검색, 뉴스 보기 등 대부분의 Next group 동의 거부권 및 동의 거부 시 불이익 에 관한 사항을 안내 드리오니 자세히 읽은 후 동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개인정보보호법에 따라 회원가입 신청하시는 분께 수집하는 개인정보의 항목, 개인정보의 수집 및 이용목적, 개인정보의